육아맘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복지 제도, 바로 아이돌봄서비스입니다. 맞벌이, 한부모, 조손가정 등 돌봄 공백이 있는 가정에게 정부가 최대 90%까지 지원해주는 제도인데요. 많은 분들이 ‘시간제 돌봄’이나 ‘긴급돌봄’도 지원이 된다는 사실을 모르고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.
오늘은 2025 아이돌봄서비스의 신청방법, 요금, 정부지원 비율, 자격조건, 자주 묻는 질문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. 👉 이 글 끝까지 보면 신청 안 하면 손해인 이유가 확실히 보입니다.
💡 아이돌봄서비스란?
여성가족부가 운영하는 공공 돌봄 지원 제도로, 전문 교육을 받은 아이돌보미가 가정에 방문하여 아이의 식사, 놀이, 등·하원, 생활 전반을 도와주는 서비스입니다.
즉, 어린이집 하원 후 집에 혼자 있는 시간을 줄여주고, 맞벌이 부부의 육아 공백을 메워주는 국가 지원 육아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.
👶 이용 대상 및 조건
구분내용
이용 대상
만 12세 이하 아동 (0세~초등학생)
지원 대상 가정
맞벌이, 한부모, 장애부모, 조손가정, 저소득층 등
서비스 유형
① 종합형 (식사, 등하원, 돌봄 전반) ② 시간제형 (필요 시간만) ③ 긴급돌봄 (갑작스런 일정 발생 시)
신청 가능 여부
부모 모두 취업 중 또는 돌봄 공백이 있는 경우
✅ 참고: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다니는 아이도 하원 후 돌봄용으로 이용 가능합니다. 주말, 야간, 방학기간 이용도 가능해요.
💰 아이돌봄서비스 요금표 및 정부지원 비율 (2025년 기준)
유형지원대상정부지원율본인부담금 (시간당)비고
A형
기초생활수급자
90%
약 1,500원
거의 무료 수준
B형
차상위·저소득층
80%
약 3,000원
C형
맞벌이·중위소득 150% 이하
70%
약 4,000원
가장 많이 신청
D형
일반가정
0%
약 13,000원
정부지원 제외, 자비 이용 가능
💡 예를 들어 월 80시간 이용 시, 정부지원형 가정은 약 30만 원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. 지원 대상 여부는 복지로 → 모의계산 서비스에서 간단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.